7월 서울 아파트값 올 들어 최대폭 상승…전국은 9년 3개월새 최대폭 - 조선비즈
입력 2020.08.03 14:09
6·17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이 올 들어 최대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아파트값도 2011년 4월 이후 9년 3개월 사이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1.12% 올랐다. 올 들어 상승폭이 가장 크다.
서울 아파트값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 들어 0.45%(1월), 0.12%(2월), 0.10%(3월) 등으로 상승폭이 줄었다. 4월과 5월엔 각각 0.10%, 0.20% 하락했다. 그러다 저금리와 유동성 등 영향으로 매수세가 강해지며 6월 0.13% 오르며 반등했고, 7월엔 올 들어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세종 아파트값은 지난달 6.53% 올라 전국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는 한국감정원이 세종 집값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2년 12월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세종 아파트값은 지난해 12월 1.02% 상승한 데 이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2.22%, 2.41%, 5.15%, 1.80%, 0.33%, 2.55% 각각 상승했다. 올들어 7월까지 무려 22.82% 폭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과 세종의 상승세 속에서 전국 아파트값은 전달보다 0.89% 오르며 2011년 4월(1.46%) 이후 9년 3개월 사이 최대로 상승했다.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을 포함한 주택종합전세가격은 전국 기준으로 전달 대비 0.32% 상승했다. 수도권(0.35%→0.42%)과 서울(0.15%→0.29%), 지방(0.18%→0.24%) 모두 전달 대비 주택 전셋값이 올랐다. 서울은 전세 물량이 감소하면서 강동구(0.70%), 서초구(0.58%), 강남구(0.53%), 송파구(0.50%), 마포구(0.45%) 등을 중심으로 주택 전셋값이 올랐다. 지방에선 세종이 3.46% 급등하며 2017년 11월(3.59%) 이후 전셋값이 가장 크게 올랐다.
7월 기준 전국 아파트 중위가격(주택 매매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격)은 3억5452만원이다. 수도권 아파트 중위가격은 5억2204만원,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8억4683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한국감정원은 이번 조사가 6월 16일부터 지난달 13일까지의 시세변동이어서 7·10 부동산 대책 영향은 제한적으로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2020-08-03 05:09:30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R2h0dHBzOi8vYml6LmNob3N1bi5jb20vc2l0ZS9kYXRhL2h0bWxfZGlyLzIwMjAvMDgvMDMvMjAyMDA4MDMwMjIyMi5odG1s0gFDaHR0cHM6Ly9tLmJpei5jaG9zdW4uY29tL25ld3MvYXJ0aWNsZS5hbXAuaHRtbD9jb250aWQ9MjAyMDA4MDMwMjIyMg?oc=5
52782601765708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7월 서울 아파트값 올 들어 최대폭 상승…전국은 9년 3개월새 최대폭 - 조선비즈"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