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억 로또' 아파트면 뭐합니까"…청약 포기 선언하는 이유 - 한국경제
시세대비 8억~9억원 차이…전매제한 10년 달해
"입주시에 15억 넘거나, DSR 규제 받으면 어쩌나…" 우려

사진=뉴스1
분양가 상한제로 시세보다 9억원가량 낮은 가격에 아파트가 공급됨에도 '포기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경기 화성시 오산동 업무복합2에 공급되는 ‘동탄2신도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동탄 디에트르)’가 10일부터 청약일정을 시작할 예정이다. 531가구의 주상복합 아파트로 전용 84㎡A의 분양가는 (최고가 기준) 4억8867만원, 102㎡는 5억8390만원이다. 1군 브랜드도 대단지 아파트도 아니지만, 반 값에도 미치지 못하는 '로또 청약'이다보니 예비청약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단지와 가까운 오산동 동탄역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5.0(545가구)과 비교해도 차이가 크다. 단지 크기와 구성이 비슷한 이 단지에서는 지난 1월 전용 84㎡가 11억6500만원에 매매 사례가 있다. 단지에 나와있는 매물은 10여개 정도인데, 전용 84㎡의 호가는 최고 13억5000만원에 달한다. 호가와 비교해도 약 9억원차이가 나는 셈이다.

시세 대비 9억원가량 낮은 분양가로 '로또 청약'이 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동탄 디에트르) 조감도. / 자료=대방건설
뜨거운 청약 열기 속에서도 일부에서는 포기선언이 나오고 있다. 주요한 이유는 '실거주', '전매제한', '대출' 때문이다. 동탄 디에트르는 신도시 택지지구에서 공급돼 5년의 실거주 의무와 10년의 전매제한이 기간이 있다. 거주 의무를 어기게 되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강제 매입을 당하게 된다. 전매는 2030년에야 가능하다. 계약금은 20%를 내야하다보니 전용 84㎡에 청약해 당첨된다면 일단은 8800만원이 있어야 한다. 초기 자금부담이 있고, 10년 뒤 부동산 시장까지는 가늠이 어렵다보니 고개를 갸웃하는 수요자들도 있다.
실제 부동산 커뮤니티에는 "지금도 시세가 치솟고 있는데, 입주시에 15억원은 거뜬할 것 같다"며 "현금 있는 분들은 입주시에 줍줍도 가능하겠다"는 예상 시나리오까지 있다. 오는 7월 입주를 앞두고 분양권 거래가 가능한 동탄역 롯데캐슬의 경우 매물로 나와있는 전용 102㎡의 호가는 19억원을 넘나들고 있다. 지난 달에는 17억8110만원에 실거래됐다. 전용 84㎡는 아예 매물이 없는데, 지난3월 11억5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전세시세는 7억~8억원대일 정도로 동탄2신도시 일대의 집값은 강세인 상태다.

현재는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내 시가 9억원 초과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이 있는 대출자 또는 신용대출 총액이 1억원을 넘는 고소득(연 소득 8000만원 초과) 대출자에 대해서만 개인 단위 DSR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29일 금융위원회는 차주(개인) 단위 DSR의 단계적 확대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대출 규제를 한단계 더 강화했다. 오는 7월부터는 전체 규제지역(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에서 개인별 DSR 규제가 적용된다. 시가 6억원이 넘는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개인과 신용대출 총액이 1억원을 넘는 대출자에 대해서다.
물론 이러한 우려는 '일부'일 뿐이다. 빡빡한 청약조건에도 "당첨만 되면 영혼이라도 팔겠다"는 류의 간절한 소망들이 대부분 예비 청약자들의 마음이다. '로또 청약'과 함께 세트로 붙어나오는 '10만 청약설'과 '84점 만점통장 출현설'도 어김없이 등장했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입주를 기준으로 하면 실거주 의무가 끝나는 시기와 전매가능 시기가 큰 차이가 안 난다"면서도 "이제는 서울 뿐만 아니라 무주택자들은 싼 집값을 찾아서 어디라도 '몸테크'를 해야하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05-08 23:37:40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OWh0dHBzOi8vd3d3Lmhhbmt5dW5nLmNvbS9yZWFsZXN0YXRlL2FydGljbGUvMjAyMTA1MDkxNjkxZdIBNWh0dHBzOi8vd3d3Lmhhbmt5dW5nLmNvbS9yZWFsZXN0YXRlL2FtcC8yMDIxMDUwOTE2OTFl?oc=5
52783369142188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9억 로또' 아파트면 뭐합니까"…청약 포기 선언하는 이유 - 한국경제"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