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폭락한 러시아 주식 ETF 700억 넘게 순매수한 개미들 - 세계일보

iyobusiness.blogspot.com
폭락한 러시아 주식 ETF 700억 넘게 순매수한 개미들 - 세계일보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글로벌 제재가 더해지는 등의 과정에서 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폭락한 러시아 주식과 관련한 국내외 상장지수펀드(ETF)를 700억원 넘게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월21일부터 3월4일까지 개인투자자들은 국내 유일 러시아 주식 ETF ‘KINDEX 러시아MSCI(합성)’를 28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본격화한 지난달 25일에는 개인 순매수 금액이 183억원으로 국내 ETF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해당 기간 ETF 가격은 3만120원에서 1만70원으로 66.57% 폭락했다. 불과 2주 만에 가격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ETF 투자위험 지표인 순자산 가치 대비 시장 가격의 괴리율은 지난달 28일 30.26%까지 치솟았다. 이는 거래소 규정상 해외 기초자산 ETF의 괴리율 한도인 6%를 5배 웃도는 수준으로, 시장 가격이 상당히 고평가됐음을 의미한다. 거래소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KINDEX 러시아MSCI(합성)의 거래를 오는 7일 정지한다. 운용사인 한국투자신탁운용도 이 ETF가 상장 폐지될 수도 있다고 공지했다.

개미들의 매수 행렬은 미국 거래소에 상장한 러시아 ETF까지 이어졌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결제일 기준으로 2월21일부터 3월4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의 ‘반에크 러시아 ETF’(RSX) 순매수 결제액은 1955만달러다. 또 ‘아이셰어즈 MSCI 러시아 ETF’(ERUS)는 1398만달러, 레버리지 상품 ‘디렉시온 데일리 러시아 불 2X ETF’(RUSL)는 484만달러 각각 순매수했다.

3개 종목의 2주간 개인 순매수 결제액을 합치면 3837만달러다. 이는 4일 종가 기준 원/달러 환율(1214.2원)을 적용하면 466억원 규모다. 여기에 KINDEX 러시아MSCI(합성) 순매수액까지 더하면 746억원이다.

최근 이들 ETF 가격은 수직으로 하락했다. 러시아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RUSL 종가는 지난달 16일 23.75달러에서 10거래일만인 이달 3일 2.58달러로 89.14% 폭락했다.

같은 기간 RSX는 25.50달러에서 5.79달러로, ERUS는 41.26달러에서 8.06달러로 각각 77.29%, 80.47% 떨어졌다. 결국 RUSL 운용사 디렉시온은 지난 2일(현지시간) 이 ETF의 상장 폐지를 발표했다. RUSL은 오는 11일까지만 거래되고 이후 상장폐지 절차를 거쳐 18일 청산된다. 또 ERUS와 RSX에 대해서도 각 운용사가 지난 1일과 3일에 신규 설정(추가 발행) 중단 방침을 밝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해외주식형 펀드의 수익률도 10%에 가까운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4일 현재 설정액이 10억원 이상인 해외주식형 펀드들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9.39%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북미(-10.93%), 유럽(-10.70%), 중국(-8.25%), 일본(-8.02%) 등 대부분 펀드에서 평균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올해 각 국가의 대표지수 등락률을 보면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9.18%), 중국 상하이종합지수(-5.28%), 범유럽 지수인 유로스톡스50지수(-17.27%), 일본 닛케이225(-9.75%) 등 줄줄이 하락세다.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의 대표 지수 RTSI는 41.29% 폭락했다. 러시아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부터 증시를 열지 않고 있다. 이에 러시아 주식형 펀드의 올해 평균 수익률은 -58.27%로 반 토막이 났다.

이외 러시아 주식에 상당 부분 투자한 신흥유럽 주식형 펀드(-53.37%),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투자하는 펀드 등도 큰 손실 면치 못했다.

러시아 주식 거래가 어려워진 자산운용사들은 관련 펀드들의 환매를 연기하고 설정을 중단했다. 최근엔 미래에셋자산운용도 ‘미래에셋러시아인덱스증권자투자신탁’, ‘미래에셋동유럽업종대표증권자투자신탁1호’ 등 러시아 주식 관련 펀드의 환매를 연기했다.

수익률 부진에도 올해 해외주식형 펀드로 자금은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지난 4일 현재 해외주식형 펀드의 설정액은 33조222억원으로 올해 들어 2조6449억원(재투자분 포함)이 늘었다. 권역별로 보면 북미주식형 펀드에 1조3043억원이 유입됐다. 코로나19 이후 미국 주식이 국내 투자자의 최선호 투자처로 떠오른 가운데 올해도 자금 유입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중국주식형 펀드의 설정액도 올해 9706억원이 증가했다. 전기차·2차전지 등 성장성 있는 테마로 자금이 유입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등 세부 업종이나 테마 펀드의 순자산이 빠르게 늘고 있다”며 “중국 주식의 저평가 얘기가 나오는 가운데 투자자들이 성장성 있는 섹터에 관심을 보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block test (Why?)



2022-03-06 07:09:15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LWh0dHBzOi8vd3d3LnNlZ3llLmNvbS9uZXdzVmlldy8yMDIyMDMwNjUwNjczNtIBAA?oc=5

1321424806

Bagikan Berita Ini

Related Posts :

0 Response to "폭락한 러시아 주식 ETF 700억 넘게 순매수한 개미들 - 세계일보"

Posting Komentar

Diberdayakan oleh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