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생명 사태에 한국물 채권 ‘거래 절벽’… 외화유동성 위기 번지나 - 서울신문
‘불문율’ 콜옵션 미행사에 30% 급락
타 보험사·은행 채권도 동반 하락
당국, 회사채 발행 주기 분산나서
전문가 “통제 아닌 불확실성 해소를”

6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외화채권시장에서 흥국생명의 액면가 100달러 신종자본증권(영구채) 거래 가격은 지난 4일 72.2달러로 급락했다. 흥국생명이 콜옵션 포기 의사를 공시하기 하루 전인 10월 31일 99.7달러에 거래됐던 것에 비하면 가격이 30% 가까이 떨어진 것이다. 예정대로 이달 상환을 예상하고 시장에서는 100달러 가까운 가격에 거래됐으나 이번 사태로 상환 시기가 최대 30년으로 늘어나면서 가격이 떨어진 것이다. 그동안 한국물 신종자본증권은 콜옵션 행사가 불문율처럼 이뤄져 왔다.
다른 보험사와 은행의 신종자본증권 가격도 동반 하락하고 있다. 2025년 9월 콜옵션 만기인 동양생명 신종자본증권은 같은 기간 83.4달러에서 52.4달러로, 2024년 10월 만기인 우리은행 신종자본증권은 87.5달러에서 77.8달러로 떨어졌다. 내년 8월 만기인 신한금융지주 신종자본증권도 96.6달러에서 91.5달러로 내려갔다.

한편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1일과 3일, 4일 은행·보험·카드·캐피털사 등 금융 업체들과 잇따라 만나 시장 점검 회의를 열고 자금시장 경색을 막기 위해 회사채 발행 주기를 서로 겹치지 않게 조절하도록 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업 등의 필요에 따라 발행하는 회사채를 당국이 원하는 대로 통제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정보를 제공해 시장의 불확실성을 덜어 줘야지 강제로 조정하려고 했다가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강신 기자
2022-11-06 11:40:30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O2h0dHBzOi8vd3d3LnNlb3VsLmNvLmtyL25ld3MvbmV3c1ZpZXcucGhwP2lkPTIwMjIxMTA3MDE3MDA00gEA?oc=5
1630724121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흥국생명 사태에 한국물 채권 ‘거래 절벽’… 외화유동성 위기 번지나 - 서울신문"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