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짜 인프라코어도 술렁인다···"3조 조달" 매각엑셀 밟는 두산 - 중앙일보 - 중앙일보

경기도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두산중공업의 경영위기는 2013년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가 대규모 미분양 사태를 겪으면서 시작됐다. 두산건설
두산건설 매각은 구체적인 윤곽이 나왔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두산건설은 자산과 부채를 분리하는 물적분할을 진행한 후 시장에 매물로 나올 예정이다. 앞서 두산건설은 신설 법인인 밸류그로스에 일부 자산과 부채 등을 넘기는 물적분할을 결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두산건설이 밸류그로스에 넘기는 자산은 인천 학인 두산위브 아파트, 일산 위브더제니스 상가, 공주 신관 토지 등이다. 두산건설 등에 따르면 이 자산들은 미분양 등으로 공사대금을 제대로 회수하지 못한 자산으로 분류된다.
이번 물적분할로 두산건설은 자산 2조2271억원, 부채 1조7843억원으로 바뀐다. 밸류그로스는 자산 2532억원에 부채 800억원 회사로 탄생한다. 두산건설은 밸류그로스 주식 가운데 보통주 69.5%를 보유하되 나머지 우선상환주 30.5%를 두산큐벡스에 800억원에 매각한다. 두산큐벡스는 두산건설 레저사업이 분사한 회사로 춘천 라데나골프클럽 등을 운영하고 있다.

경남 창원 두산중공업 본사. 뉴스1
이와 별도로 유압기기와 방산부품을 생산하는 두산 모토롤BG도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두산솔루스, 모토롤BG에 이어 두산건설 등 두산그룹 관련 매물이 시장이 쏟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두산그룹 발 매물이 몰려 두산그룹이 제값을 받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현재는 매도자와 매수자 간 가격 차이가 워낙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두산인프라코어가 지난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 건설장비 전시회 ‘인터마트(INTERMAT) 2018’에서 최신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
인프라코어 직원들 "또 우리냐"
두산그룹 안팎에선 두산인프라코어 매각이 두산공작기계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성장성이 충분한 알짜 사업을 매각하면 미래 성장 동력도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두산그룹 지배구조는 ㈜두산→두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두산밥캣으로 이어지는데, 인프라코어와 밥캣이 건설기계로 시너지를 내고 있어서다.
두산인프라코어를 매물로 내놓기 위해선 두산밥캣과의 분할이 필수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두산밥캣이 두산인프라코어를 앞섰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매출 3조7265억원, 영업이익 3634억원을 기록했다. 두산밥캣은 매출 4조4593억원, 영업이익 4770억원을 올렸다.
팔기에 아깝다는데 대한 반론도 있다. IB업계 등에선 “두산그룹이 당장의 캐시카우에 집착해 매각을 늦출 경우엔 유동성 문제가 그룹 전체로 번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강기헌 기자 emckk@joongang.co.kr
2020-06-16 20:00:06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gwMzMyMN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4MDMzMjA?oc=5
52782453809267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알짜 인프라코어도 술렁인다···"3조 조달" 매각엑셀 밟는 두산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