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개인형 IRP 손실액 535억...박용진 고위험 상품 정의 불명확 - 매일경제 - 매일경제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 5곳과 IBK기업·산업은행 등 국책은행 2곳 등 7개 은행이 판매한 개인형 IRP 계좌 손실액은 53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84억원보다 6배 늘어난 규모다.
개인형 IRP란 근로자가 퇴직금을 본인 명의 계좌에 적립해 노후자금 등으로 활용하는 상품이다.
손실액 규모로 보면 △국민은행 181억원(0.3%) △신한은행 135억원(0.3%) △하나은행 96억원(0.3%) △우리은행 79억원(0.3%) △농협은행 29억원(0.2%) △기업은행 14억원(0.1%) △산업은행 1억원(0.1%) 순이었다.
손실 계좌 수도 지난해 말 2만5089개에서 5월 말 기준 11만9438개로 늘어났다. 7개 은행 전체 IRP 계좌 수는 328만1396개로, 손실 계좌 평균은 전체의 3.6%다.
박 의원실은 "IRP 가입자 중 코로나19 사태 등 영향으로 수익이 제대로 나지 않아 손해를 본 사람들이 많다"며 "고위험 상품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불완전 판매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고위험 상품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퇴직연금의 경우 통상 투자 한도를 제한한 상품이 위험 상품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상 퇴직연금 적립금의 70% 이내로 투자 가능한 주식형 펀드나 부동산 펀드 등을 고위험 상품으로 볼 수 있다. 고위험상품에 가입한 개인형 IRP 계좌 손실액은 올 들어 7배가 늘어났다. 올 5월말 기준 433억원(1.1%)으로, 작년 말 62억원(0.2%)보다 371억원 증가한 것이다.
고위험상품 가입 개인형 IRP 손실 계좌 수도 작년 말 1만8223개(8.7%)에서 5월 말 8만4389개(34.5%)로 늘어났다.
[이새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0-07-26 06:06:41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NGh0dHBzOi8vbS5tay5jby5rci9uZXdzL2Vjb25vbXkvdmlldy8yMDIwLzA3Lzc2Mjk2My_SAThodHRwczovL20ubWsuY28ua3IvbmV3cy9lY29ub215L3ZpZXctYW1wLzIwMjAvMDcvNzYyOTYzLw?oc=5
52782582493693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5월 개인형 IRP 손실액 535억...박용진 고위험 상품 정의 불명확 - 매일경제 - 매일경제"
Posting Komentar